타이틀 입력
1. Flutter란?
Flutter는 구글이 개발한 오픈 소스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개발 프레임 워크 입니다.
하이브리드 어플리케이션을 개발시 유용하게 사용 할 수 있는 프레임 워크 에요.
언어는 dart라는 아이를 사용합니다.
기존의 각종 하이브리드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 위해 사용하였던 언어들보다 앱의 퀄리티가 잘 나오는 것이 특징입니다.
그럼 Flutter를 사용하기 위해, 세팅을 먼저 시작해 볼까요?
Window10, Intellij를 사용하여 Flutter 개발 환경을 구축해보도록 하겠습니다.
2. 개발환경 구축 - Flutter Plugin
Intellij의 가장 큰 장점은 다양한 Plugin을 이용하여 개발 환경을 최적화 시킬수 있다는 점 이겠죠?
Intellij에서는 Flutter 플로그인도 제공해 줍니다.
해당 plugin을 먼저 설치 하고, Intellij를 재시작 해 줍니다.
재시작이 되면, Create New Project를 선택해 줍니다.
왼쪽에 파란색 Flutter 프로젝트가 생성된 것을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Flutter를 클릭 후, Install SDK를 눌러서 적당한 위치에 Flutter SDK를 설치해 줍니다.
그 후, 윈도우 환경변수 (시스템 ->고급 시스템 설정-> 환경 변수 편집) 에서
내가 Flutter SDK를 설치한 경로\bin 을 추가하여 줍니다.
PowerShell 에서 flutter doctor를 쳐서 환경변수 설정이 잘 되었는지 확인해 주세요!
다시 Intellij로 돌아솨 새 프로젝트를 마저 생성해 줍니다.
Use AndroidX artifacts의 체크를 해제 해 주신 후 finish를 눌러 주세요!
3. Flutter 컴파일!
개발환경 구축이 잘 되었다면, 새 프로젝트가 생성 되었을 때 위쪽에서 컴파일 할 디바이스를 선택 할 수 있습니다.
버츄얼 머신을 이용하여 컴파일 하실 분들은, Android Stuido를 이용하여 AVD 등을 설정해 주세요!
저는 일단 크롬을 선택하여, Flutter 설정이 정상적으로 되었는지 확인해 보겠습니다.
성공적으로 최초 Flutter 프로젝트가 컴파일 되었습니다!
이제 차근차근 Flutter 공부를 진행해 보아요 ㅎ_ㅎ!